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메뉴

소통게시판

HOME > 학습동아리 > 소통게시판

생태전환 아카데미에 초대합니다.

작성자
이**
수정일
2025-09-22
조회수
40
동아리명
평생교육과
[생태전환아카데미 2025 가을 강좌]


행성위기 시대에 도시는 어디로?

생태문명도시를 말한다



가뭄으로 단수를 해야 하는 강릉의 상황은 충격적입니다.

강릉의 가뭄, 광주의 홍수, 의성의 산불…

이제는 누구도 기후재난에 예외가 아니게 되었죠.

지구행성 차원의 위기가 다가오는 시대,

새로운 현실에 조응하는 삶과 문명, 도시와 동네는 어떤 것이어야 할까요?

우리 동네와 도시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생각해보고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나누는 자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신청 링크: https://forms.gle/c157h6Hz8WFzC7kB6


□ 세미나 (온라인)

*생태문명으로 읽는 도시 (강사: 신지혜, 10월 16일 7:00-8:40 pm)

우리 행성의 거주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급한 문명 전환, 도시 전환의 방향은 무엇일까요?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도시의 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그 도시에서 발견할 수 있을 삶의 양식은 어떤 것일까요? 행성 위기의 시대, 새로운 눈으로 도시 다시 보기! 그리고 생태문명 도시로 함께 나아가기!를 제안합니다.


*자연에서 찾는 도시문제 솔루션 (강사: 박숙현, 10월 23일 7:00-8:40 pm)

21세기 도시문제는 교통체증, 주차공간, 층간소음, 미세먼지 정도에 그치지 않습니다. 공동체의 붕괴와 기후위기로 인한 문제는 도시문제가 단순한 공간 문제를 뛰어넘는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지금껏 기술로 대체해오던 자연의 혜택들을 되살려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살 만한 도시의 삶을 상상해봅시다.


*생태적 한계선 안에서 살아가기: 도시의 새로운 규범 (강사: 고이지선, 10월 30일 7:00-8:40 pm)

기후위기가 우리의 일상 구석구석에 스며드는 지금, 우리는 지구가 버틸 수 있는 한계선 안에서 살아갈 길을 찾아야 합니다. 생활양식의 변화와 도시 정책의 전환이 어떤 연결 고리를 맺고 있는지 살피며, 더 나은 오늘을 위한 새로운 사회적 규범의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강의입니다.



□ 워크숍 (현장)

*장소: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 (센터 내 장소는 신청자에게 개별 전달 예정)
*선착순 40명


*시스템 사고로 보는 생태문명도시 (진행: 박숙현, 11월 8일 2-5시 pm)

어라~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작한 일인데, 왜 다른 문제가 계속 생겨날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시스템 사고는 도시가 가진 문제들이 서로 어떤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됩니다. 본 워크숍에서는 전형적인 시스템 사고 모델을 배우고, 시스템 사고를 통해 도시문제를 이해하는 연습을 합니다.


* 생태시민의 공통문명감각 찾기 (진행: 우석영, 11월 15일 2-5시 pm, 모둠별 개별 주제 토론 진행)

비인간과 공존하며 지구 질서의 한계 속에서 사는 생태시민적 삶의 감각이 무엇인지 찾아보는 시간입니다. 지금 바로 합의 가능하고 실천 가능한 생태시민의 삶의 양식,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할 제도가 무엇일지 그 밑그림을 그려내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1개의 공통 주제 + 6개 개별 주제를 6개의 모둠이 토론.

*공통주제: 기후/문명과 삶/도시/경관/지역공동체/녹지/비인간 생물/인프라

*개별주제: ① 냉난방/전자제품 ②전력/테크놀로지 ③주거, 위생과 물 사용, 자동차, 이동 ④음식 ⑤제로웨이스트, 쇼핑, 수리수선 ⑥여행과 오락


□ 수강료: 세미나:3만원/ 워크숍:4만원/ 전체:7만원
Insert title here

※ 로그인 후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