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재정자립도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7.44% |
27.20% |
28.06% |
27.08% |
26.72% |
26.22% |
26.11% |
재정자주도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55.82% |
55.29% |
56.48% |
53.85% |
51.98% |
50.83% |
49.62% |
재정여건
- 지방세 세제 구조 상, 자체재원의 비중은 낮고 의존재원의 비중은 높은 취약한 세입구조를 가짐
- 사회복지 보조사업 확대로 구비분담금의 증가가 예상되고, 기초연금 인상, 기초생활보장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복지분야 지출 증가
- 개별공시지가 상승 추세에 따라 재산세 수입규모는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보조금은 정부의 복지정책 확대에 따라 지속적인 증가 예상
재정운영 방향
- 재정 건전성 강화
- 불필요한 경상경비 절감,투자사업 심사 강화 등으로 한정된 재원으로 사업성과를 극대화하여 재정 건전성 유지
- 유사·중복사업 통·폐합,성과평가 미흡사업 감액조정을 통해 구민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사업 추진 재원 확보
- 사업별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성과가 미흡한 사업은 과감히 세출 구조조정 실시
- 구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원의 전략적 배분 및 미래대비 투자 확대
- 중장기 재정계획에 의거한 재정운용으로 구정의 주요 시책사업 추진
- 행정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투자 강화
- 구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용예산 편성 및 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