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CO₂배출 없는 발전소 만든다.
- 부서
- 환경과
- 작성자
- 등록일
- 2009-11-09
- 조회수
- 6708
2020년까지 CO₂ 배출 없는 발전소 만든다.
(2009. 10. 13)
□ 지식경제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CCS 기술의 상용화를 통한 발전소의 CO₂감축이 중요하다고 판단,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약 1,000억 원을 CCS의 R&D 및 실증에 지원할 계획입니다.
☞ CCS(Carbon Capture&Storage)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
○ 지식경제부 김정관 에너지자원실장은 ‘09. 10. 13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제3차 CSLF 각료회의에 참석하여 이와 같은 한국 정부의 상용화 추진 의지를 밝혔는데요,
- 이를 통해 CCS 분야에서의 국제적 입지를 강화하고, 중ㆍ장기적으로 발전사 등 국내기업의 수출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CSLF(Carbon Sequestration Leadership Forum, 이산화탄소처리리더십포럼)
□ CCS는 발전 및 산업공정(철강, 시멘트 , 정유, 비료산업) 등 대규모 CO₂ 발생원으로부터 배출된 CO₂의 90% 이상을 포집한 후 압축ㆍ수송하여 유전, 가스전, 대염수층에 저장하는 기술로서,
○ 전 세계 화석에너지 수요 증가, 탄소시장 확대에 따라 2020년경 상용화되어 관련 시장이 형성되고, 미래 핵융합 발전, 수소이용 기술 상용화 전까지 효과적 감축 수단이 될 전망입니다.
※ 세계 CO₂배출량의 38%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배출
(국내 : ‘05년 19.7%)
※ 석탄화력발전 용량 : ('06) 1,382GW → ('30) 2,692GW,
95% 증가 전망(IEA, '08.)
※ 탄소시장 전망(세계은행) :
('06) 312억불 → (’10) 1,500억불 → ('20) 18,600억불
<출처> 국내․외 환경정보 제71호 - 지식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