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협치란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과 행정이 공동으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 ‧평가하는 구정 운영 방식 및 체계
시민참여예산(구단위계획형)이란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과 숙의·공론 과정을 통해 더욱 공공성 높은 의제(사업)을 발굴‧선정함으로써 기존 사업 제안단계에 머물러 있던 주민 참여 권한을 사업 발굴‧선정‧실행‧평가의 전 과정으로 확대하여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을 목표로 하는 전략계획
시민참여예산(구단위계획형) 추진과정

- 의제 발굴(3~4월)
- 주민제안
- 사업부서 제안
- 협치회의 발굴
- 의제타당성 검토 및 구체화(5~6월)
- 사업부서의 의제 검토
- TFT, 분과회의 등을 통한 의제 검토
- 의제 숙의·공론(6월)
- 분과별 공론장 운영
- 엠보팅 온라인 투표를 통한 실행사업 우선순위 선정
- 시민참여예산(구단위계획형) 수립 밎 제출(7~9월)
- 2023년 시민참여예산(구단위계획형) 수립
- 서울시와 협의조정 및 보완
- 광진구협치회의 최종의결 및 서울시 제출
- 협치 실행사업 구체화(10~12월)
- 실행사업별 워킹그룹 구성 및 계획 구체화
2022년 시민참여예산(구단위계획형) 대표사업
도시환경 | 교육청년 | 복지건강 | 문화경제 |
---|---|---|---|
▪ 자원순환 활동으로 깨끗한 광진 만들기 |
▪ 청년 비상 프로젝트 ▪ 오고 가는 일상학습길 조성 |
▪ 밥 먹고 놀자! 모이면 식구! ▪ 홀몸어르신을 위한 커뮤니티케어 구축 |
▪ 찾아가는 전통문화 힐링 프로그램 ▪ 전통시장부터 친환경 제로웨이스트 실천 |
광진구협치회의 구성
|
광진구 협치회의 공동의장(구청장, 민간의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육·청년 분과 |
|
도시 환경 분과 |
|
문화·경제 분과 |
|
복지·건강 분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행사업 |
|
실행사업 |
|
실행사업 |
|
실행사업 |
|
실행사업 |
|
실행사업 |
|
실행사업 |
|
실행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워킹그룹 |
|
워킹그룹 |
|
워킹그룹 |
|
워킹그룹 |
|
워킹그룹 |
|
워킹그룹 |
|
워킹그룹 |
|
워킹그룹 |
|
||||||||||||||||||||||||||||||||
|
|
|
|
|
||||||||||||||||||||||||||||||||||||||||||||
|
|
|
|
|